CONTACT l SITEMAP Newstomato Etomato
Sub Main Image_960 X 150
지난포럼
홈RSF2017>지난포럼>강연주제
2016 은퇴포럼 주제
의제 : 고령사회, 산업 패러다임이 바뀐다
2050년 전 세계 60세 이상 인구는 약 20억 명으로 현재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한국의 시니어산업 육성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당면과제다. 고령국가 국민들의 삶의 질은 시니어산업의 성장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미국 자동차회사 포드는 65세 이상 인구의 30%가량이 심장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에 착안해 운전석이 심장마비를 진단해 차량을 멈추게 하는 기술을 내놓았다. 일본 종합가전업체인 NEC도 가정용 로봇 파페로를 노년층을 위한 동반자 로봇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이처럼 고령친화산업은 전세계적으로 기존 시니어비즈니스로 분류되었던 산업 부문을 넘어 자동차 뿐 아니라 IT, 금융, 제약, 식품산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고령인구를 대상으로 영역으로 산업생태계를 넓혀가고 있다.

시니어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해가는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베이비부머를 타깃으로 하는 기업들은 주로 건강식품업체와 의료기기업체, 노후 자산 운용을 위한 보험과 자산운용업체들 중심으로 협소하다.

이에 이번 2017은퇴전략포럼에서는 고령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분석하고 산업 생태계를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해 국내 시니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투자 및 사업화를 연결하는 자생적이고 효율적인 생태계 구축에 힘을 쏟을 수 있도록 이번 포럼의 의제를 '고령사회, 산업패러다임이 바뀐다"로 정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산업생태계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리딩컴퍼니들은 어떤 전략을 취하고 있는지, 또한 고령사회 산업 정책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 지를 폭넓게 논의하게 될 것이다.
세션 별 주제
Session 1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는 국가라는 것은 이미 상식에 속한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오는 2050년에 5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인구의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며, 2060년이 되면 생산가능인구 10명이 노인 8명과 유아 2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좋든 싫든 한국 경제는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그러나 과연 그 토대가 충분히 조성되고 있는지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경제는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를 수용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그러나 과연 그 토대가 충분히 조성되고 있는지는 의문부호가 붙는다.

국내 고령 친화산업은 지난 2005년에 시작돼 10년 정도 지났지만 아직까지 초기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전반적인 평가다. 특히 정부는 지난 2006년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06~2010년)을 마련한 이래, 지난해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7~2020년)을 발표하고 수십조원의 재원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 재고와 복지문제에 집중한 나머지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에는 상대적으로 아쉬움이 남는다.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은 단순히 내수 수요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오는 2030년이 되면 전 세계의 노인인구는 13억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한·중·일은 3억 명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거대한 수출 시장이 형성될 것은 당연한 결과다. 시니어가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는 시대에 우리는 과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시니어를 단순히 복지 수혜자이자 대상으로 바라보는 정책 방향으로는 해결책 마련이 어려운 것은 분명해 보인다. 단기적 수요정책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을 찾고 육성하는, 구조적이고 본질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이번 세션은 ‘고령사회 비즈니스 생태계’를 주제로 학계와 기업계, 정부 관계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진단과 함께, 앞으로 관련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 등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Session 2
고령사회 금융의 혁신
전세계적인 고령화 진행과 함께 경제력을 바탕으로 적극적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시니어고객에 대한 사회경제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버달러, 뉴시니어, 액티브시니어 등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의 50세 이상 시니어세대가 소비주체로 주목 받는다.

금융사를 이용하는 시니어고객은 금융적, 비금융적 수요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금융사가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인식이 이미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사들의 경우 자산이 있는 시니어고객 관리 강화를 위해 금융적 서비스 뿐만 아니라 비금융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니어세대는 비금융 니즈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재테크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스포츠, 여행 등에 대한 관심 정도가 높기 때문이다.

급격한 고령화 진전을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빠르게 증가하는 시니어고객에 대응한 국내 금융사의 적극적 대응이 고려돼야 한다. 국내 금융사들의 시니어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잰걸음을 보이고 있으나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금융권에서는 시니어고객 가운데 세부그룹별 수요 분석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관리 및 기반 확대, 충성고객 확대 등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2세션>에서는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금융회사들의 현주소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혁신 방향을 제시한다.
  • 신한금융그룹
  • 하나금융그룹
  • IBK기업은행
  • 우리은행
  • KDB산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 한화생명
  • 삼성생명
  • 미래에셋생명
  • 동부화재
  • 삼성화재
  • 현대해상
  • 한화손해보험
  • 신한카드
  • 저축은행중앙회
  • 여신금융협회
  • 삼성전자
  • 현대자동차그룹
  • LG그룹
  • 두산그룹
  • 포스코
  • LG화학
  • 대신증권
  • NH투자증권
  • 삼성증권
  • 한국투자증권
  • 교보증권
  • 메리츠종금증권
  • 유진투자증권
  • 현대차투자자증권
  • KTB투자증권
  • 미래에셋자산운용
  • 금융투자협회
  • 한국증권금융